리눅스 서버의 라우팅 테이블 확인
netstat -nr
2. 리눅스 서버의 인터페이스 확인
ifconfig -a
.MTU(Maximum Transfer Unit) : 1500
.RX packets(부팅 후 현재까지 받은 패킷수) :
.TX packets(부팅 후 현재까지 보내어진 패킷수) :
.Collisions : 0
.Interrupt 주소 : 21번
.현재 UP(사용가능)되어 있음도 알 수 있음
3.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 파일
. Default Gatewya 설정 파일
#cat /etc/sysconfig/network
NETWORKING=yes
HOSTNAME=clubcm
GATEYAYDEV : eth0
GATEWAY=211.220.193.254
. 호스트 설정 파일
#cat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DEVICE=eth0
BOOTPROTO=static
BROADCAST=211.220.193.255
IPADDR=211.220.193.248
NETMASK=255.255.255.224
NETWORK=211.220.193.224
ONBOOT=yes
. 기본 DNS 설정 파일
#cat /etc/resolv.conf
nameserver 168.126.63.1
. HOSTNAME 대상파일
/etc/sysconfig/network
/etc/HOSTNAME (이파일은 위의 파일에서 읽어와 저장되는 파일 임)
* HOSTNAME변경후 네트워크 재 실행 스크립트
/etc/rc.d/init.d/network restart
4. ifconfig를 이용한 ip 할당하는 방법
#ifconfig eth0 down
#ifconfig eth0 up
#ifconfig eth0 192.168.0.100 netmask 255.255.255.255.0 broadcast 192.168.0.255 up
5. 네트워설정 파일들을 이용한 서버 IP Address 변경하는 방법
. 네트워크 주소 설정 파일 두개
/etc/sysconfig/network
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. 위의 두 파일설정 후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사용할 네트워크 스크립트
/etc/rc.d/init.d/network restart
./usr/sbin/netconfig
/usr/sbin/netconfig eth0
6. 리눗스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
. ping
-s 옵션 : Ping 테스트시 사용할 패킷 사이즈 크기 설정 옵션
-q 옵션 : 종합결과를 보여줌
- i 옵션 : interval을 설정, 즉 지연 시간을 의미
- b옵션 : Ping 테스트를 하는 서버와 동일한 네트웍에 있는 모든 호스트로 패킷을 보냄
- c옵션 : Ping 테스트시 보낼 패킷 수를 지정해 주는 옵션
'IT세상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RPM 명령어 (0) | 2017.06.30 |
---|---|
Bash 패치 (0) | 2017.06.30 |
리눅스 계정 관리 (0) | 2017.06.30 |
linux Route 설정 (0) | 2017.06.30 |
Linux LAN Card Speed 설정 (0) | 2017.06.30 |